지역문화실태조사 결과 (문체부 제공)
지역문화실태조사 결과 (문체부 제공)

 

대전이 정부가 발표한 지역문화 종합지수에서 상위권에 포함됐다. 다만 지역 문화계에선 여전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문화 격차가 심하다는 푸념을 내뱉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최근 공공부문 문화공급 현황을 진단하기 위한 ‘지역문화실태조사’ 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산정한 지역문화종합지수를 발표했다.
‘지역문화실태조사’는 3년 주기로 하는데, 이번 조사는 전국 245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문화정책·문화자원·문화활동·문화향유 4대 분류 총 32개 지역문화지표와 3개 코로나19 특별 현황지표를 적용해 진행됐다. 조사기준 연도는 2020년이다.

조사 결과, 2017년과 비교해 기초지자체의 인구 대비 문화기반시설과 생활문화시설은 각각 1000명당 0.08개, 1만 명당 1.8개로 각각 14%, 12% 증가했다. 1인당 문화 관련 예산액(28%, 13만 1000원)과 문화 관련 조례제정 건수(30%, 9건), 지역문화 진흥 기관(13%, 1.7개) 등도 증가해 지역문화 정책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 수(27%), 문화예술 관련 사회적 기업 수(39%), 등록예술인 수(110%), 학예전문인력(59%) 등 문화 활동 조직과 인력도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문예회관 공연장의 공연일 수(50%), 지역축제 예산(60%), 통합문화이용권 이용률(3.8%) 등이 감소하는 등 문화향유 부분에선 다소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각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표준화한 ‘지역문화 종합지수’는 245개 지자체 중 전북 전주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지역에선 완주군이 가장 높았고, 구 지역에선 서울 종로구가 가장 높았다. 2017년 기준 지역문화 종합지수와 비교할 때, 서울 종로구, 경북 안동시, 대구 북구, 경기 성남시는 새롭게 10위권 내로 진입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문화종합지수는 대등한 수준으로, 하위요소인 문화정책·자원 부문은 비수도권이 높고, 문화 활동 부문은 수도권이 높아, 2017년과 같은 추세를 보였다. 도시·도농복합·농촌의 지역문화종합지수도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7년과 비교해보면 문화 활동 부문에서 도시 우위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지역 간 격차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문화 활동 부문이 수도권과 도시에 지속적으로 집중되고 있어 문체부는 비수도권, 농촌지역의 문화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대전 문화계 A 관계자는 “이번에 대전이 문화지수 상위권 지역에 포함됐다는 건 의미 있는 결과”라면서도 “이번 조사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수가 대등한 수준이라고 발표됐지만 실제로 현장에선 그렇지 못하다”고 귀띔했다.

대전 문화계 B 관계자도 “문화시설수만 보더라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는 더욱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보다 정부 차원에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