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조절장애를 해결하지 못한 채 성인이 되었다 해도 그 고리를 끊을 방법은 있다. 강력한 사회적 연결에 의지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신의 삶에 의식적으로 마음챙김의 관점을 적용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스트레스 조절장애를 겪는 이들이 이런 변화에 나서는 것이 쉽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분명 가능하며 효과도 크다. 더불어 그런 행동을 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많은 사람이 어느 정도 안도감을 얻는다."

 

유난히 아무것도 아닌 일에 분노를 터뜨리는 사람이 있다. 일단 감정이 폭발하면 진정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람. 그러다가 어느 순간 세상과 담을 쌓고는 한없이 위축되고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사람. 그게 주변 사람일 수도, 사랑하는 사람일 수도, 나일 수도 있다. 이들이 스트레스 조절에 실패하는 공통의 이유, 이들의 마음속에 도사린 공통의 감정은 바로 ‘불안’이다.

우리 몸은 위험에 처하면 스트레스를 느끼도록, 생사가 걸린 결정을 내릴 때면 심장이 두근거리는 불안을 느끼도록 만들어졌다. 위기가 닥쳤을 때 스트레스 반응을 작동시키는 능력이 없었다면 인간이라는 종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듯 불안은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감정이다. 하지만 왜 어떤 사람은 일상생활조차 어려울 정도로 ‘유난히’ 심한 불안을 느끼는 걸까? 무엇 때문에 그런 감정이 시작되며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 걸까?

저자가 말하는 강력한 스트레스는 폭력, 전쟁, 굶주림 같은 생명의 위협에 직면한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살면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병, 실직, 이혼, 주거비 상승, 경기 침체 등 다양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느끼는 불안과 스트레스 역시 몸에 ‘생물학적’으로 각인되고 이것이 다음 세대로 고스란히 전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임신한 순간부터 생후 1년의 경험이 평생의 불안을 결정한다는 사실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단순히 개인의 성격이나 나약함, 처한 환경 탓으로 돌리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한다.

-대니얼 키팅의 '남보다 더 불안한 사람들'에서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