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전 유성도서관에서 한 여성이 책을 고르고 있다. 전우용 기자
대전 유성도서관에서 한 여성이 책을 고르고 있다. 전우용 기자

도서 판매와 유통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다만 이 같은 시스템 구축이 대한출판문화협회와 정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져 혼란도 예상된다. 일각에선 시스템의 일원화와 저자 위주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출판계 단체인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지난 1일 저자가 출판사에서 계정을 받아 판매 부수를 확인할 수 있는 도서판매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했다.

해당 시스템에는 교보문고와 예스24, 알라딘, 영풍문고, 인터파크 등 내로라하는 5개 대형 서점들이 함께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문학동네와 열린책들, 김영사 등 주요 단행본 출판사도 참여에 대한 뜻을 밝혔다. 현재 출판계에선 유통구조의 복잡화로 자사 책들의 세부적인 판매량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곧 저자들과의 인세 지급 문제로도 붉어져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이번 공유 시스템에는 많은 수의 출판사가 참여하게 됐고 작가들 또한 이번 기회를 말미 삼아 재산권 확보를 도모할 수 있어 이를 반기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이번달 시범 운영에 나서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문제는 문화체육부 또한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가동한다는 점이다. 문체부는 9월 출판유통 통합전산망을 가동시키는데 이 또한 책 생산과 판매 등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재고와 판매량을 파악하는 것에 무게를 둬 저자가 직접적으로 책 판매량을 확인할 순 없다. 두 시스템의 성격이 다른 만큼 대부분의 출판사는 두 가지 시스템을 모두 가입하고 있는 추세지만 일각에선 시스템 통합을 외치고 있다. 두 시스템 모두 저자와 출판사 등에 필수부결한 존재인만큼 시스템 분할로 혼란을 주기보단 통일성을 갖춘 시스템의 출범을 요구하는 것이다.

시스템의 일원화도 중요한 작가들의 정당한 권리 행사 여부가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작가들의 재산권이 불안정하게 확보돼 있는 만큼 단순히 판매량 등에 초점을 잡기 보단 작가의 권리를 보호하는 쪽에도 신경을 쓴 시스템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한 출판업계 관계자는 “단순 통계 파악을 위해 구축하는 시스템은 출판업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허울뿐인 아이템”이라며 “시스템의 본 취지에 맞게 저자나 출판업계의 입장을 고려한 시스템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