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점 인증제’라는 제도가 있다. 대전시가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도서시장 활성화로 침체된 지역서점을 돕고 지역 내 독서문화를 활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역서점을 지원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서점에 대한 인식을 책을 파는 공간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바꾸는 것이 골자다. 시에서는 지난달 관내 서점 93곳을 선정, 인증을 완료했다.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제도인 만큼 앞으로의 길을 닦는 일이 중요하다. 뉴스앤북이 지역서점 인증을 받은 93곳을 찾아 새롭게 거듭나고 있는 현장을 소개한다. 
 

 

 

대전 유성구 도시철도 1호선 노은역에서 은구비공원 쪽으로 쭉 걸어가다 보면 ‘서점’과 ‘심리상담소’가 나란히 쓰인 간판이 시선을 끈다. 바로 독립서점 ‘마르타의 서재’다. 인근 주민과 지역사회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책방을 꾸리고자 한다는 김태임 대표와 책방생활 이야기를 나눠 봤다. 

마르타의 서재는 건물 지하에 자리를 잡고 있다. 서점임을 생각했을 때 특이한 위치 선정이다. 그렇다고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분위기가 어두운 건 아니다. 상냥한 말씨의 안내문과 밝은 벽지, 파릇파릇한 화분들이 행인의 발길을 끌어당긴다. 이 아래 어떤 공간이 기다리고 있을지 설레는 마음으로 계단을 내려와 낮은 문턱을 밟고 들어서면 어릴 때 꿈꿨던 아지트처럼 아늑한 풍경이 펼쳐진다. 

음악을 전공해 레슨 선생님으로 일하던 김 대표는 아이들을 출산하고 대전으로 이사하며 불가피하게 긴 공백기를 갖게 됐다. 아무 연고가 없는 지역에서는 수강생을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공백기를 둥지 삼아 마르타의 서재가 탄생했다. 그는 “남편이 심리상담가다. 부부가 같이 일할 수 있는 접점을 찾던 당시 독서모임에 함께 참여했는데 그 느낌이 너무 좋았다”며 “독서모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의 절실함도 깨달았다. 그런 공간에서 재밌는 프로그램이나 워크샵을 열면 좋겠다고 생각하다 ‘책과 연결되는 공간이면 서점이 되겠네?’ 싶어 마르타의 서재를 열었다”고 회상했다.

 

김태임 대표가 좋아하는 그림책 '축하합니다'를 소개하고 있다. 안민하 기자

 

현재 대전에서 심리상담을 진행하는 책방은 마르타의 서재가 유일하다. 부부가 함께 운영하며 김 대표가 책·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남편이 상담 프로그램을 맡아 진행하고 있다. 마르타는 김 대표의 세례명이자 성경에 나오는 성인의 이름이기도 하다. 시중을 들며 사람들에게 헌신했던 성인의 정신이 책방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그는 ”이름값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다“며 ”상담과 함께 그림책을 통한 테라피, 그림책과 음악 연계, 심리강의, 마음을 함께 나누는 포럼, 명상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그림책 관련 프로그램이 반응이 좋다. ‘어른인데 그림책을 읽냐’며 별다른 기대를 보이지 않던 이들도 막상 그림책과 시간을 보내고 나면 생각을 바꾼다. 어른들 사이에 부는 그림책 붐에 대해 그는 “코로나 시기다 보니 답답하고 복잡한 책이 싫어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싶을 때 글이 너무 많으면 버거우니까 그림책을 찾는 것 같다. 그림과 여백이 주는 느낌이 좋은 것도 있다”고 고찰했다.

 

 

 

지역서점 인증제에 대한 이야기도 나눠봤다. 김 대표는 ”지역서점에서 홍보나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참여비를 받곤 하는데 이 참여비를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책방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진행할 때도 책방 주인들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부분에서 세부적인 지원 방침이 있으면 대전 지역서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바랐다. 

이것저것 어려움이 있긴 하지만 지역서점인증제는 책방지기들에게 반가운 일이다. 그는 ”마르타의 서재처럼 알려지지 않은 책방의 경우 ‘대전시에서 인증한 서점이라네?’ 하고 시선을 끄는 장점이 있다“며 ”지역서점 인증을 받고 나니 공신력이 생기는 느낌이 들어 좋다“고 좋아했다. 

 

마르타의 서재 한 쪽에 있는 방명록 코너는 책방에서 힘을 얻어 간 이들이 남긴 따스한 에너지로 가득하다. 안민하 기자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