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여러 의학용어들이 자주 쓰이게 되면서 남발되는 외래어들을 알기 쉬운 우리말로 순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방역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우리말이 아닌 영어표현 그대로 사용돼, 그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추석연휴 직후,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서 주민 전체가 집단 격리된 정읍 양지마을. 언론은 전라북도가 이 마을에 취한 조치를 '코호트 격리'라고 표현했다. '코호트'는 동시대에 태어나거나 결혼을 한 사람 등을 일컫는 통계 용어다. '코호트 격리'는 전염병 사태가 빈번해진 요 몇 년 사이 본 의미를 변형해 만든 신조어다.

특히 자동차에서 검사받는 '드라이브 스루' 진료, 세계적인 대유행을 뜻하는 '팬데믹', 코로나 이후의 삶을 의미하는 '포스트 코로나' 등 외국어만 있는 게 아니다. '지표환자'와 '비말' 등 정보취득이 쉽지 않은 계층에게는 쉽게 다가가지 않는 표현들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국적불명의 언어가 더 빠르게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세태는 공공기관에서 더 심하다. 외래어와 신조어가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일 것 같아서 보도자료에 넣었다”며 “공직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다”고 털어놨다.

이에 국립국어원 새말모임은 코로나19 외래어를 대체할 수 있는 우리말을 내놓고 있다. 질병의 확산 방지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국립국어원이 발표한 순화어를 보면 쓰기도 편하고, 이해도 쉽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코로나19 관련 용어들이 건강·질병과 관련된 용어들인 만큼 국민들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쉬운 우리말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