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독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현상이 심각하다. 주 요인으로는 학업 및 입시에 대한 부담,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손꼽힌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초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따르면 가장 최근 조사인 2017년 학생 전체의 연간 평균 독서량은 28.6(67.1, 18.5, 8.8)으로, 2015(29.8) 대비 평균 1.2권 줄었다.

학생들은 평소 책 읽기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학교나 학원 때문에 책 읽을 시간이 없다'(29.1%), '휴대전화 하느라 시간이 없다'(18.5%) 등을 들었다.

실제도 경기도교육청이 올해 3월부터 4월까지 관내 초··고 학생 2001명과 학부모 424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독서교육인식에 대한 학생, 학부모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통계가 나왔다. 학교도서관 이용률이 매일 이용 기준으로 초등학생 15%, 중학생 9%, 고등학생 7%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위안거리인 것은 고교생을 중심으로 진로진학을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는 점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입시위주의 교육 등 전반적인 교육현실로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관심이 초··고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교육부 등은 작가와의 만남, 인문학 강좌 등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일회성 위주의 행사보다 수업시간에 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자는 위주의 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부에선 정책도 중요하지만 일선 교사들의 독서교육 역량 강화, 학교도서관 접근성 강화, 학부모 등 조력자의 인식 강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교사학회 관계자는 "학교도서관을 교실 옆으로 옮겨 학생들이 책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접근성 강화, 판서식 수업이 아닌 아이들이 직접 도서관을 찾아 책을 보고 공부를 하는 수업 방식 개선, 심도있는 책 읽기 습관 키우기 등이 이뤄져야 한다"이를 위해선 교사와 학부모들이 의식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