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앤북은 매주 문인들을 만나 그들이 가진 독특한 창작 세계를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소소하면서 진지한 대담 속에서 그들의 눈으로 본 세상을 뉴스앤북이 독자여러분께 전해드립니다. 뉴스앤북과 함께 분야와 지역을 넘어 다양한 책과 사람들을 만나보세요

시인 김명아 씨
시인 김명아 씨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면 날아갈 듯 행복했거나, 때론 슬펐던 일 등 삶의 다양한 흔적들과 만나게 될 것이다. 마치 한 편의 시처럼 말이다.

매 순간 단편적인 부분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쩌면 매일 짧은 시(詩)를 만들며 살아간다고 볼 수 있다.

명확한 서사가 있는 소설과 달리, 시는 인생의 한 단면을 강렬하고 함축적인 언어로 표현된다. 짧은 시간 동안 인생의 한 단면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 치열하게 고민한 결과물이 아마 시가 아닐까.

이렇듯 시인 김명아 씨는 우리네 이야기를 시집 ‘흔적 The Trace’(도서출판 오름)에 녹여내 독자들에게 큰 울림을 선사한다.

시집 ‘흔적’엔 다른 시집과 다르게 활자를 찾아볼 수 없다. 시인이 육필로 쓴 캘리그라피(Caligraphy)로 시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어로 번역한 시를 통해 언어를 달리했을 때의 이색적인 느낌을 선사한다. 김 씨는 “어렸을 때부터 연필은 물론 숯검정, 펜, 나뭇가지 등 다양한 필기구를 가지고 글을 썼어요. 그중에서 한글을 쓰기엔 붓이 가장 적합했죠. 다양한 느낌을 표현하기 좋았기 때문입니다. 정성껏 붓으로 편지를 쓰듯 시를 쓰고 싶어 캘리그라피 시집을 준비했어요”라고 전했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흔적을 남기고자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그 흔적들도 지워지기 마련이다. 김 씨는 이 같은 상황을 보며 시집의 제목을 ‘흔적’으로 지었다. 그는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문학작품을 흔적으로 낳고 있지만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죠. 그래도 허공에 흔적을 남기는 마음으로 사유의 흔적을 시로 남겨 독자들에게도 사유의 문을 열 수 있는 동기를 주고 싶었습니다”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시를 캘리그라피로 만들기 위해 짧은 한 줄 시를 써왔다. 특히 시의 도입 부분의 묘사적 표현 단계를 생략했다. 캘리 시를 충분히 음미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가 말하는 ‘한 줄 시’는 한 문장처럼 짧은 시를 뜻하며, 정제된 함축미를 생명으로 하고 있다. 김 씨는 “일상에서 우연히 접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생멸(生滅) 과정을 보면서 감동하고 사랑하며 감사하는 생활을 하려고 애를 씁니다. 내 안에 있는 작은 ‘나’가 제 밖에 있는 큰 ‘나’를 만나는 기쁨을 노래하며 살고 싶은 마음에서죠”라고 설명했다.

캘리 시집 '흔적 : The trace
캘리 시집 '흔적 : The trace

시집을 한 장씩 넘기다 보면 모든 시가 하단에 배치된 부분이 눈길을 사로 잡는다. 책 속에 빈 공간을 만든 이유에 대해 그는 “시를 하단에 배치해 페이지마다 여백을 만들었어요. 독자들에게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해서죠. 독자는 시를 읽다가 자신의 정서에 불이 붙어 새로운 생각을 쓰고 싶은 충동이 있을 때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모두 활자 시대에 살고 있어요. 컴퓨터나 휴대전화를 통해 시를 쓰는 것도 좋지만, 붓을 들고 시를 쓰는 즐거움을 누려보기를 권하고 싶죠. 물감으로 돌이나 나무판 위에 시를 쓰거나 바닷가 파도가 지나간 모래에 나뭇가지로 시를 쓰며 걷는 경험 같은 겁니다. 시를 짓는 것도 아름다운 일이지만 시를 쓰는 것도 행복한 일이죠. 시는 활자로 쓰는 행위보다 연필이나 펜으로 쓸 때 멋이 배가됩니다. 획을 그을 때 나타나는 힘의 강약과 리듬을 읽는 사람이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어 시를 읽는 즐거움을 더해줄 수 있어요”라며 옅은 미소를 띄었다.

지난 인터뷰 이후 김 씨는 대전문인총연합회장으로서 계간 ‘한국문학시대’ 발행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문예지를 시대의 변화에 맞도록 미디어와 융합시키기 위해서다. 그는 “문예지에 QR코드를 편집해 보고 듣는 잡지가 되도록 시도해봤습니다. 문인들이 미디어 능력을 개발하고 영상과 녹음 등의 기술을 익힐 필요가 있다는 까닭에서죠. 문학작품도 공유 공간의 확장에 따라 다양한 공유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봅니다”라고 단언했다.

그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문인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시인이 시를 써 시집을 내는 일도 중요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공유하는 방식도 변화돼야 한다는 이유가 그의 설명이다. 김 씨는 “미디어 시대의 특징은 SNS를 통한 실시간 무한 공유시대예요. 창작과 동시에 독자와 공유하는 시대에 와 있는 거죠. 활자만으로 공유할 수 있지만, 문학인들이 시, 사진, 시낭송, 캘리시 등 한가지씩 시와 결합할 수 있는 미디어 표현 방법을 익혀 독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할 시기에요. 미디어 시대에 맞게 작품을 공유하는 방법을 다양화할 때 K-poem의 시대가 열릴 겁니다. 한국인의 풍류와 홍익 정신이 세계인의 박수를 받을 미래가 다가오고 있죠”라고 부연했다.

김 씨는 또 다른 미디어 표현 방식을 시와 접목한 시집을 준비 중이다. 그는 “NFT(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을 공부해 시집을 펴내고 싶어요. 급속히 변화하는 미래 시대에 소외되지 않고 공존하기 위해선 새 시대 문화를 호흡해야 하기 때문입니다”라며 말을 마쳤다.

◆김명아 시인은?

시인 김명아 씨는 지난 2014년부터 대전시민대학 시창작교실 ‘healing poem’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전문인총연합회장으로서 순수종합문예지, 한국문학시대를 발행하고 있다.

또 시민문학회 대표로 시동인지 ‘The Poetizen’을 발행하고 있으며 대전문학관 운영위원장을 맡아 문학관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는 현재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대전문인총연합회 회장, 호서문학회 회원, 대전시인협회 회원, 세계계관시인협회 한국위원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