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물러가고 아침저녁으로 비교적 선선한 날씨를 보인 가운데 19일 대전 유성구 노은도서관에서 마스크를 쓴 학생이 고른 책을 읽고 있다.  전우용 기자
대전의 한 도서관에서 마스크를 쓴 학생이 고른 책을 읽고 있다. 전우용 기자

전국 국립대학교 내부에 위치한 국립도서관이 지역 주민 이용 시 비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대학교 속 공공시설이 주민들에게 이용비를 납부받음에 따라 국립대 도서관의 진입장벽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윤영덕(광주 동남갑) 의원이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거점 국립대학교에서 제출받은 도서관 이용 규정을 조사한 결과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도서관을 개방하는 대학교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지역 주민이 국립대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연회비와 발전기금, 예치금 등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서울대 도서관은 연회비 12만 원(관악구 주민의 경우 8만 원)을 납부하면 자료 대출과 열람실을 이용할 수 있다. 경북대와 부산대 도서관은 10만 원의 연회비를 지불해야 이용 가능하다. 이밖에도 충북대와 경상대, 강원대, 제주대 도서관은 매년 대학 발전기금을 납부해야 지역 주민들에게 이용권을 부여했다. 

주민들에게 납부받는 이용비 종류도 제각각이라 반환 여부도 각기 다르다. 매년 납부하는 연회비와 발전기금은 반환이 불가능하지만 예치금과 예탁금은 도서관 회원 탈퇴 시 돌려받을 수 있다. 특히 충북대 도서관의 경우 지난 2013년 이용 규정을 예치금 납부에서 발전기금 납부로 변경했다. 이용 규정 변경에 따라 기존 도서관 회원에게 예치금을 반환해야 하나 아직도 2700여 만 원을 반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윤영덕(광주 동남갑) 의원
더불어민주당 윤영덕(광주 동남갑) 의원

 

윤 의원은 “충북대 도서관은 미반환 예치금 반환을 위해 우편과 휴대폰 문자 등으로 통지하고 있지만 주소나 연락처 변경으로 예치금 반환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국립대 도서관 이용을 위한 예치금이나 발전기금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에 장벽이 될 수 있다. 국립대 도서관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대학 교육과 연구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지역 주민들의 이용이 잦아질 경우 정작 대학을 다니고 있는 재학생에 대한 서비스 질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도서관이 국립대학교 내에 자리잡고 있다면 지역 주민보다는 재학생에 초점을 맞춘 혜택이 이뤄져야 한다는 거다. 대전 A 대학 관계자는 “공공도서관을 지역민 이용이 유리하게 개방한다면 이에 대한 민원이 증가될 가능성이 크고 재학생들의 불만도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