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내달부터 간선급행버스 바로타B1를 대상으로 시내버스 현금승차 제한 시범운영을 시행한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내년부터 시내버스 현금승차를 제한한다. 지난 1일 시행된 간선급행버스 바로타B1 시범운영 후 모든 노선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으로 시는 민원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 거라 예상하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의 편의를 생각해야 할 지자체가 공공시설 이용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독선적이라는 것이다. 

시에 따르면 관내 시내버스요금 현금지불 이용건수는 지난 2019년 2.7%에서 지난해 2.0%로 매년 감소해 올해는 1%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반면 현금으로 낸 버스요금을 정산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연간 약 1억 5000만 원으로 현금지불 이용건수가 감소해도 관리비용에는 변동이 없다. 이와 함께 지폐, 동전 등 현금이 코로나19 감염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우려와 현금수입금함(현금통)의 무게가 운수종사자에게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까지 대두되며 현금승차 폐지를 검토하게 됐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폐지에 앞서 시는 1일부터 대전, 세종, 청주 등을 경유하는 간선급행버스 바로타B1(옛 1001번)을 대상으로 현금승차 제한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시민이 교통카드 전면화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7월 한 달을 교통카드 사용을 홍보·권장하는 계도기간으로 두고 이후 현금통을 제거, 다음해 전체 노선에서 현금탑승을 제한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반면 시민들의 시선은 회의적이다. 현금승차가 막힐 경우 교통카드를 놓고 왔거나 분실했을 때의 대안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지하철처럼 역마다 이용권 발매기가 있는 것도 아닌 상황에서 교통카드 전면화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유성구에 거주하는 이모(25) 씨는 “현금을 낼 수 없게 되면 교통카드를 잃어버렸거나 놓고 왔을 때 곤란할 것 같다. 지자체가 공공시설 이용 방식을 제한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불편해했다. 또다른 시민은 “카드 사용을 권장하는 분위기를 먼저 만들어야지 현금통부터 없애고 보겠다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고령자가 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질 거라는 우려도 있다.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해하기 어려워 버스 탑승 시 현금을 지불하는 노년층에게는 그야말로 마른하늘에 날벼락일 수 있다는 것이다. 후불제 교통카드를 발급받는다는 방법도 있지만 계좌 개설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건 비슷하다. 시는 교통카드 이용법 안내 등 적극적인 홍보로 이런 애로사항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현금승차 폐지가 지자체의 편의만 고려한 조치라는 지적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시는 현금승차 폐지 전면 추진을 전제로 일단 시범운영을 진행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시 버스운영과 관계자는 "시민들 의견을 많이 들어보고 발생 민원이 최소화될 방법을 연구해 최선을 다해 보겠다”며 “1년 동안 민원이나 불편사항이 발생할 경우 계속 모니터링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