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인증이 완료된 서점에 교부하는 스티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인증이 완료된 서점에 교부하는 스티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진행하는 지역서점인증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약속된 지원이 늦어진다는 현장의 불만은 시가 계획을 수립 중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시에 대한 신뢰에 이미 균열이 갔기 때문이다. 시가 보다 적극적으로 현장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역서점인증제는 온라인서점 활성화·코로나19로 경영난에 빠진 지역서점을 지원할 의도로 만들어진 제도다. 최종 목표는 서점을 단순히 책을 파는 공간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제도 시행에 들어가 현재 관내 서점 98곳의 인증을 마친 상태다. 

인증이 완료된 서점은 서점 운영에 관한 컨설팅, 서점 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각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온라인서점과 체인형 대형서점에 밀려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티던 서점주들이 지역서점인증제의 도입을 반겼던 이유다.

그러나 시행 3개월이 지난 현재 서서히 불만이 나오고 있다. 시가 제공하겠다던 문화프로그램·컨설팅 등 지원이 코로나19를 이유로 지연됐기 때문이다. 시가 회계, 북큐레이션, SNS 홍보 등 서점주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9월 독서의 달과 연계한 프로그램 계획에 나서자 비판은 조금 누그러졌지만 한 번 신뢰에 금이 간 만큼 가야 할 길은 험난해 보인다.  

지역서점인증제와 관련해 현장에서 가장 큰 문제로 꼽는 것은 소통 부족이다. 관내 서점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를 도입한 게 문제라는 게 서점주들의 지적이다.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길을 고민하지 않고 시작점에 섰으니 잡음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유성구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A 씨는 “행정적으로 제도를 조합하느라 시행 과정에서 서점의 목소리들이 충분히 담기지 않았다”고 아쉬워했다.

지역서점 인증 관련 안내를 공공도서관에서 받아 시가 신경을 쓰지 않는 것처럼 느껴졌다는 이들도 있다. 한 독립서점 대표는 “지역서점 인증 관련 연락을 시가 아니라 공공도서관에서 받았다"며 "시와 소통할 수 있는 매개나 창구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연달은 질타에 시도 진땀을 빼고 있다. 제도의 매끄러운 운영을 위해 고심하고 있지만 아직 뾰족한 돌파구를 찾지는 못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으니 이해를 해 주셨으면 좋겠다. 다양한 의견을 많이 들어 더 잘 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공공도서관을 통해 연락을 한 이유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해당 관계자는 “서점도 독서와 연관이 깊은 만큼 도서관과 시가 같이 가야 되는 부분이라 본다. 협업 차원에서 도서관에 협조를 구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