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인증이 완료된 서점에 교부하는 스티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서점을 돕고자 지역서점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지속 가능한 방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좋은 취지에 대한 믿음만으로는 아직 마음을 놓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 지역서점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시는 지난 3월 지역서점인증제 시행을 위해 전시·판매 면적이 전체의 30% 이상인 일정 규모(19.8㎡) 이상의 관내 서점을 대상으로 인증신청을 받아 93곳을 선정, 인증서와 스티커를 교부했다. 매달 신규 접수를 진행해 현재 지역서점 98곳이 인증을 마친 상태다.

지역서점인증제는 온라인서점 활성화·코로나19로 경영난에 빠진 지역서점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서점을 단순히 책을 파는 공간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게 최종 목표다. 

그러나 제도 시행 3개월이 경과한 현재 서점주들 사이에서는 슬슬 조바심 어린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시가 초기에 계획했던 각종 문화프로그램·컨설팅 등의 지원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9년부터 지역서점조례를 제정하며 터를 다진 것치곤 기대에 차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대덕구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A 씨는 “3개월이 지났는데 아직 시에서 크게 해준 게 없다”고 토로했다.

서점에 대한 인식 변화부터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시가 서점주들을 사업자로만 보고 일차원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그들이 예시로 드는 것은 지역서점인증제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전 시행된 ‘온통대전과 함께하는 지역서점 활성화 사업’이다. 

사업은 지역화폐 온통대전으로 책을 구입할 시 최대 20%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지난해 말, 올해 1월 두 차례에 걸쳐 펼쳐졌다.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관내 서점 온통대전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 매출이 2.7배 증가했다는 게 시가 제시한 통계이지만 현장 반응은 회의적이다.

가장 많이 팔린 것은 문제집·참고서였고 사업 종료 후에는 다시 시민 발길이 줄었다는 게 서점주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돕고자 하는 의지는 고맙지만 서점을 단순 사업장으로 바라보고 물질적 지원책만을 강구해서는 안 된다고 이들이 주장하는 이유이다. 유성구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B 씨는 "책을 단순히 상품으로만 취급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며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민들에게 책의 즐거움을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구 독립서점 다다르다의 김준태 대표는 “지방자치단체가 서점에 대한 평가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며 “지자체들이 서점 주인들을 개인사업자로 보지 않고 시민의 문화향유권을 위한 협업을 펼쳤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한편 시에서도 지금 시기를 공백기로 남겨두지 않으려고 발버둥이다. 서점주들에게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수렴해 이르면 내달부터 회계, 북큐레이션, SNS 관련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사전에 기획했던 서점학교, SNS 홍보, 북콘서트 등 지원프로그램의 선행 단계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에 모임이 어려워 하반기로 밀렸다. 독서의 달과 연계해 9월 즈음 할 예정”이라며 “인증서점을 대상으로 먼저 교육을 진행하고 이후 인증서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