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추진력은 밀물과 썰물처럼 몰려왔다 빠져나가기를 반복하며 약 30년 주기로 최고조에 달했다가 가라앉았다가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페미니즘의 부흥기가 곧 오리라는 뜻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바로 그 건망증이 걱정스럽다. 그 건망증이 너무나 끈덕진 것 같아서이기도 하고, 진보가 여성의 인식 수준 및 우리에게 할당된 운명의 개선이나 악화 정도에 우리 자신의 정치‧역사의식과 그만큼 밀접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거식증으로 고통받았던 시절을 회고하면서, ‘식욕’ ‘성욕’ ‘애착’ ‘인정욕’ ‘만족감’ 등 여성의 다양한 욕구와 사회 문화적 압박에 대해 정교하고 유려하게 써나간다. 

이 책은 2003년 출간 당시 수많은 언론의 찬사와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보다 깊이 있는 거식증 논의의 물꼬를 텄다. 2011년에는 퓰리처상 수상 작가이자 캐럴라인 냅의 오랜 친구였던 게일 콜드웰의 서문을 수록한 개정판이 출간되면서 다시 한번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빛을 발하는 텍스트로 자리매김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식욕/욕구(appetite)’는 흔히 먹는 일 또는 음식과 관련해서 사용된다. 냅도 다른 어떤 욕구보다 허기에 자신의 영혼을 걸었다. 하지만 이 단어는 갈망과 동경과 필요로 이루어진 훨씬 폭넓은 범위까지 아우른다. 사전적 의미에서도 ‘자연스러운 욕망’ ‘만족 또는 충족하고자 하는 선천적이거나 습관적인 욕망 내지 성향’ ‘욕망의 대상’을 모두 가리킨다. 말하자면 욕구란 세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삶에서 풍요의 감각과 가능성을 느끼고자 하는, 쾌락을 경험하고자 하는 더욱 깊은 수위의 소망에 관한 것이다.

냅의 분석에 따르자면, 이러한 죄책감과 두려움은 여성들이 자라는 내내 주입받은 고정관념, 즉 여성의 갈망은 억제해야 하고 사회적으로 용인된 방식으로만 갈망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명령 때문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이러한 개인과 사회의 역학 관계에서 비롯된 문제가 파편적으로 해체되어 분석되고 있다는 것이다. 거식증으로 고통받는 여자들, 물건을 훔치는 여자들, 자신을 해치는 여자들, 자신의 영혼을 파괴하는 사랑에 빠지는 여자들… 이 모두가 전혀 다른 현상인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분석되고 있는 갈망의 뿌리는 동일하며, 이들의 불안, 죄책감, 수치심, 슬픔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냅의 분석이 빛을 발하는 지점은 바로 이 연결되어 있는 현상의 배경, 그 저변을 바라보는 넓은 시선이다.

-캐럴라인 냅의 '욕구들'에서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