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점 인증제’라는 제도가 있다. 대전시가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도서시장 활성화로 침체된 지역서점을 돕고 지역 내 독서문화를 활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역서점을 지원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서점에 대한 인식을 책을 파는 공간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바꾸는 것이 골자다. 시에서는 지난달 관내 서점 93곳을 선정, 인증을 완료했다.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제도인 만큼 앞으로의 길을 닦는 일이 중요하다. 뉴스앤북이 지역서점 인증을 받은 93곳을 찾아 새롭게 거듭나고 있는 현장을 소개한다.

건물 안으로 들어서니 다락방처럼 아늑한 공간이 방문객을 반긴다. 책을 읽으며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공간, 대전 유성구 탄방동의 '잠시서점'이다. 마음이 편해지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쉼없이 노력하는 이상은 대표와 책방생활 이야기를 나눠 봤다. 

이 대표는 원래 교육 관련업에 종사했다. ‘뭘 하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고민을 하던 중 서점이라는 공간을 생각하게 됐다. 그는 “서점이라는 공간이 책만 파는 공간이 아니고 책만 팔 생각도 없었다”며 “공간, 모임도 만들어보고 싶어서 독립서점이라는 형태가 됐다”고 소신을 드러냈다. 

 

이상은 대표가 소개하고 있다. 안민하 기자
이상은 대표가 송앤의 '나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안민하 기자

 

그의 지향점은 잠시 걸음과 시선을 멈추고 몇 시간이라도 쉬었다 갈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버거운 일상에서 영원히 떠날 수는 없지만 잠깐의 휴식 정도는 용인된다. 그는 “이름대로 느꼈으면 좋겠다. 잠시 쉼을 얻어가는 공간이 됐으면 하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며 “영원히 떠날 수는 없으니까 약간 현실을 반영했다”고 웃음을 터트렸다. 

잠시서점은 예비사회적기업이다. 특히 그가 서점이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고자 마음먹은 계기가 인상깊다. 현재는 코로나19로 4명 이하의 소모임만 간신히 진행하는 상황이지만 팬데믹이 닥치기 전 이 대표는 취미를 주제로 다양한 모임을 열고는했다. 그 당시 들었던 말들은 아직까지도 그를 움직이는 힘이다. 

이 대표는 “당연히 20대 분들이 오실 줄 알았는데 생각외로 나이가 있는 여성분들이 많이 오셨다”며 “단 두 시간이, ‘여기 와서 이름을 불릴 수 있는 게 너무 행복하다’고 하셨다”고 추억에 잠겼다. 

 

잠시서점에서는 뽑기 기계를 통해 책을 추천받을 수도 있다. 기계와 함께 비치된 플라스틱 동전을 넣고 레버를 돌리면 추천사 메모가 담긴 캡슐이 나온다. 안민하 기자
잠시서점에서는 뽑기 기계를 통해 책을 추천받을 수도 있다. 기계와 함께 비치된 플라스틱 동전을 넣고 레버를 돌리면 추천사 메모가 담긴 캡슐이 나온다. 안민하 기자

 

독립서점이라는 개념이 생소했던 시절, 독립서점이 서점인지조차 모르는 이들이 많았던 만큼 지역서점인증제 도입은 이 대표에게도 희소식이다. 그는 “서점이라고 써 있는데도 들어와서 ‘여기 커피 팔아요?’ 하는 사람도 있었다”며 “지역에서 독립서점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 같아 좋다”고 운을 뗐다. 

그러나 아쉬운 점도 있다. 그는 인증 기준 중 서점 규격을 측정하는 부분에 관해 “독립서점이라는 게 규격화, 정형화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평수로 따지는 게 좀 아쉬웠다. 가치 평가가 어려운 건 알지만 서점들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기준을 조금 유하게 해 줬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한편 잠시서점은 올해 하반기 대전문화재단과의 협업으로 자연·환경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크게 이론과 실천 부분으로 나뉘며 환경 보호 실천법을 배우는 원데이클래스, 캠페인 등도 함께 계획됐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