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노동자가 휴직하거나 휴업을 시행한 사업장이 200곳을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기업 규모별로는 30인 미만 영세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업도 포함됐다. 사실상 출판업계 내에선 이번 코로나19가 최대 위기로 꼽히고 있다.

최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고용부에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한 기업은 총 243곳이다. 고용유지지원금은 국가적 재난으로 피해를 본 기업이 노동자를 감원하지 않고 휴업, 휴직 등 고용유지조치를 시행한 경우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198만 원(1일 6만 6000원, 연 180일 이내)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지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당시에도 각각 417개(33억 원), 153개 기업(44억 원)이 지원을 받았다.

업종별로는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한 기업 중 제조업이 131곳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 현지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타격을 입은 기업이 많았다. 재해·재난 때마다 얼어붙는 여행업이 55곳, 서비스업·임대업·출판업·음식업 등 기타 업종이 57곳이었다. 신청 기업 243곳 중 30인 미만 기업은 과반인 138곳으로 집계됐다.
고용유지지원금은 당초 재고량이 50% 이상 증가했거나 생산량·매출액이 15% 감소하는 등 피해 요건을 충족해야 지원받을 수 있지만 정부는 이번 코로나19로 조업이 부분적으로라도 중단된 기업은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사업장으로 인정해 별도의 요건 증명 없이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메르스 사태 때도 지방노동관서장들이 기업의 피해를 재량으로 판단해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지역 한 출판업계 A 관계자는 “지난해 학기철에 비해 서점에서 주문하는 양이 거의 없다. 출판업 자체라기보다는 자재, 생산(인쇄)과 물류(배송) 차원의 문제에도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집필이나 창작 행위, 북디자인, 온라인 마케팅 등 무형의 행위에도 물론 영향은 있겠지만 상기 자재, 생산, 물류 부문처럼 직격탄이 아니라 인적 자원에 발생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크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출판업계 B 관계자는 “출판업에 학습교재 비중이 크다보니 코로나19와 함께 개학 연기로 인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평상시 책 사러 100명이 방문해서 10권을 판다면 지금은 10명 방문해서 2권이 팔리는 격이다. 심하면 매출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출판업계의 최대 위기”라고 하소연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