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우용 기자 
 대전 유성구 카페서점에서 시민들이 차를 마시며 책을 읽고 있다. 전우용 기자

성인들의 독서량이 점점 줄어드는 데 이어 연령과 무관하게 국내 독서율이 크게 줄어 들고 있는 추세다. 무엇보다 디지털 매체로 다른 콘텐츠를 이용하는 요인이 크다. 일각에선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 이용이 독서율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기까지 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만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2017년에 비해 각각 7.8%포인트, 2.2권 줄었다. 종이책 독서율과 독서량은 줄어든 반면 전자책으로 보는 비중은 늘었다. 성인의 전자책 독서율은 16.5%로 2017년보다 2.4%포인트 증가했다.

비단 성인 뿐만이 아니다. 초·중·고교 학생의 경우 종이책 독서율은 90.7%, 독서량은 32.4권으로 2017년에 비해 독서율은 1.0%포인트 감소했으나 독서량은 3.8권 늘었다.
최근 오디오북 제작 확대 추세에 맞춘 오디오북 독서율 또한 눈길을 끈다. 성인은 3.5%, 초·중·고교 학생은 평균 18.7%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종이책 독서율이 크게 줄어드는 데엔 다양한 콘텐츠가 곳곳에서 나오면서다. 성인들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요인은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2017년까지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혔지만, 유튜브·넷플릭스 등 디지털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이 드러났다. 학생은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2017년에 이어 가장 많았다.

독서율은 크게 줄어든다지만 아직까지 희망의 끈을 놓기엔 이르다. 독서율과 독서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독서시간은 오히려 늘어났기 때문이다. 성인의 평일 평균 독서시간은 31.8분으로 2017년 대비 8.4분 증가했다. 책을 읽는 사람의 독서시간이 두 배 이상 증가했기 때문이다. 독서자의 평일 독서시간이 2017년 36.7분에서 89.4분으로 2.4배 증가했다.

이은하 문예창작학과 교수는 “이미 매년 국내 독서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그럼에도 정부와 지자체가 독서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는 건 희망적이다. 하지만 독서율 상승보다 우선돼야할 건 질 좋은 도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강선영 기자 ksy@newsnbook.com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