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교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큰 가운데 사서교사 의무배치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서교사의 미비한 역할에 대한 의문이다. 전국적으로 점차 사서교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반면 사서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또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9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보건·영양·사서·전문상담 교사 선발 인원은 전국적으로 1713명이다. 이는 전년인 1682명 대비 31명 늘어난 수치다. 구체적으로 사서교사와 전문상담 교사 선발 인원은 전년 대비 각각 50명, 140명 늘었다.

사서교사인 이 모(45·여) 씨는 “초중고에 도서관 설치가 의무화됨에 따라 관심이 증가했으나 관련 법령에서 의무적인 채용을 규정하지 않음에 따라 채용 숫자가 매우 적은 상태다. 최근의 사서교사 T/O를 살펴보면 전국에서 많아봐야 10명밖에 뽑지 않는다”면서 “예전엔 학교도서관에 폐품 급의 책만을 비치하고 관리도 제대로 하지 않았지만 학교도서관이 교육청에서 학교를 평가하는 기준 중 하나가 돼버리면서 대부분의 초중고등학교가 도서관의 크기는 커졌다. 하지만 정작 관리자는 제대로 뽑지도 않는다. 학교도서관은 유난히 성과가 지지부진하고 사서교사 배치율이 눈물나는 이유는 관련 법령에서 사서교사 채용을 의무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사서교사 증원과는 반대로 오히려 줄여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효율성에 대한 비판이 골자다.

직장인 김 모 씨는 “모든 학교에 사서교사 및 사서공무원을 의무배치하는 것에 반대한다. 학교에서 사서교사나 사서공무원이 할 일이 사실상 많지 않다.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에 도서관에서 도서대출해주는 일이 전부이지 않나 생각한다”며 “단순히 학교도서관에서 편히 도서관만 지키며 사생활을 즐기며 국민 혈세로 월급받는 사서교사를 많이 봤다. 사서나 사서교사 뽑지말고 임용고시 합격한 국어교사에게 월급을 조금 더 주고 일을 시키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국 각급 도서관에서도 사서의 역할은 미비하다”며 “공무원 특성상 한번 채용하면 정년이 보장되고 매년 호봉이 자동상승돼 월급과 제반복지가 올라가 엄청난 인건비 부담이 국민으로 전가된다. 모든 직렬의 공무원 숫자를 많이 뽑을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미 일부 도서관에선 따로 사서교사를 두지 않고 국어교사를 사서교사 역할과 겸하는 곳도 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사서교사가 배치되지 않았더라도 사서교사 자격을 소지한 사람이 사서교사 역할을 맡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거의 드물기 때문에 상당수 학교는 그냥 사서 자격증이 없는, 즉 도서관 업무에 관한 이해가 거의 없는 국어교사 등에게 사서교사를 겸임하도록 하고 있는 형국”이라며 “보통 이런 경우 그 교사가 도서부를 두고 도서부에서 대부분의 일을 담당한다. 도서관 일이라는 것이 원래 상당히 귀찮고 성가신데다 사람들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서 이뤄지기에 열심히 해봤자 표도 안나고 잘 해냈다고 해서 인사상의 이득도 없으므로 사서교사가 없는 학교에서 도서관 업무란 업무분장 시 모두가 기피하는 대표적인 3D 보직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귀띔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